본문 바로가기
종합 진료과별 건강 가이드/신경계 & 정신건강

장내 미생물과 정신 건강의 연결고리 - 우울함과 집중력 저하의 숨겨진 원인

by 키미의 건강리포트 2025. 3. 23.
반응형

 

 

 

 

"괜히 우울하고, 집중도 잘 안 되고, 자존감도 떨어져요."

혹시 이런 상태, 며칠 이상 계속된 적 있나요?

예전 같으면 '심리적 문제'로만 여겼을 수도 있지만, 요즘 연구들은 이 증상들 중 상당수가 '장내 환경'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말합니다.


장과 뇌를 연결하는 '실제 경로'가 있다?

Yes! 이건 단순한 비유가 아니라, 해부학적으로 연결된 신경 회로와 생화학적 신호 네트워크입니다.

장-뇌 축(Gut–Brain Axis)이란?

미주신경(Vagus nerve)

: 뇌줄기에서 시작해 위, 장까지 연결된 가장 큰 감각신경 → 장에서 생긴 염증이나 자극이 실시간으로 뇌에 전달됨

 

장내 미생물 → 뇌 활성 신호 생성 GABA, 세로토닌, 도파민 등의 신경전달물질은 장내 특정 유익균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합성에 관여


구체적인 연결 예시: 미생물과 감정

미생물 생성 물질 정신적 영향 감소 시 증상
Lactobacillus rhamnosus GABA 불안 완화, 안정감 과민반응, 불면, 초조함
Bifidobacterium longum 세로토닌 기분 향상, 수면 안정 무기력, 우울감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항염물질 뇌 염증 억제 불안, 만성 스트레스 반응

 

예시

GABA는 뇌의 '브레이크 페달'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GABA 생성 유익균이 줄어들면, 뇌의 긴장 완화 시스템이 약해지고 불안, 과민성, 집중력 저하로 이어져요.


실제 연구 사례 더 깊이 보기

1. 우울증 환자 vs 일반인: 장내 미생물 비교 연구

  • (Nature Microbiology, 2019)
  • 우울증 환자군은 Bifidobacterium, Coprococcus, Dialister 등 주요 신경전달물질 생성균의 밀도가 현저히 낮음
  • 해당 미생물은 세로토닌과 관련된 부티르산(Butyrate) 생성도 감소시킴

2. 프로바이오틱스 섭취 → 정서 상태 개선

  • (Steenbergen et al., 2015, Brain Behav Immun)
  • 건강한 성인에게 4주간 특정 유산균 혼합제 투여 → 스트레스 반응 감소, 부정적 사고 패턴 약화, → 긍정 정서 반응 증가라는 결과 도출

3. IBS(과민성대장증후군)와 불안의 연관

  • (Gut, 2020)
  • 장내 환경이 불안장애를 동반한 IBS 환자에서 항우울제보다 프로바이오틱스 치료가 더 효과적인 사례 보고

감정의 '신호들', 장이 원인일 수 있는 이유

이런 신호, 최근 더 자주 느껴지지 않나요?

  • 아무 이유 없이 가라앉는 기분
  • 스트레스에 대한 회복력이 떨어짐
  • 예민하고, 감정 폭이 커짐
  • 밤에 생각이 많고 잠이 쉽게 오지 않음
  • 집중이 안 되고 뇌가 '탁' 막힌 느낌

👉 이런 증상들, 단순한 '기분' 문제가 아니라 생화학적 변화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출발선은... 장내 환경일 수도 있어요.


마이크로바이옴을 조절하면 감정도 회복될 수 있을까?

네, 가능성이 충분합니다.

  • GABA, 세로토닌 생성에 관여하는 유익균 증가
  • 부티르산(Butyrate) 생성 → 뇌 염증 억제 효과
  • 미주신경 자극 패턴 안정화 → 불안 완화

특히, 전통 발효 식품은 유익균 다양성을 높이고 장내 미생물 생태계를 빠르게 회복시키는 방법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어요.


마무리하며

감정 조절, 우울감, 예민함... 우리는 이 모든 걸 '마음이 약해져서'라고 생각했지만, 사실 장내 균형이 무너졌기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뇌를 지키고 싶다면, 그 출발점을 '장내 환경 개선'에서 찾아보세요.

 다음 콘텐츠에서는 <장내 세균 다양성을 높이는 한국 전통 발효식품> 에서 구체적인 식단 전략과 추천 발효 식품을 소개할 예정이에요.

 

 

 

↓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최적화 여정> 시리즈 글 다시보기

 

 

장내 미생물의 숨겨진 파워 - 면역력, 감정, 집중력까지 좌우하는 마이크로바이옴

"장은 제2의 뇌입니다." 이 말, 이제 진부하게 느껴질 수도 있죠. 그런데 진부하다고 넘기기엔… 정말 '과학적으로 놀라운 사실'이거든요.장 속엔 우리 몸 전체 세포 수보다 많은 100조 마리 이상

namhealth.tistory.com

 

 

장 건강 이상의 7가지 신호 - 배 아픈 것만으로는 알 수 없는 몸의 경고음

"배가 아프진 않아요. 그런데 왜 이렇게 자주 피곤하고, 감정 기복도 심하고, 피부도 뒤집어졌는지 모르겠어요."이런 이야기, 들어보신 적 있나요?우리는 장 건강 문제를 '변비', '설사', '복통' 같

namhealth.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