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과 진료를 받고 나왔는데 진단서에 적힌 용어들이 외계어처럼 느껴진 적 있으신가요? 🤔 혹은 화장품 성분표를 보며 이게 대체 무슨 언어인지 고개를 갸우뚱한 경험은요? 피부 건강에 관심이 많아도 전문 용어의 세계는 일반인에게 너무나 낯설기만 합니다.
오늘은 피부과 전문의도 인정하는 '일반인을 위한 피부과 용어 해설서'를 준비했습니다. 피부 질환 진단부터 화장품 성분 라벨까지, 어려운 용어들을 쉽게 풀어드리겠습니다! 👩⚕️👨⚕️
📄 피부과 진단서에 자주 등장하는 의학 용어
피부 질환 진단명 이해하기
피부과 진료 후 받게 되는 진단서에는 낯선 의학 용어들이 가득합니다.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진단명부터 알아볼까요?
의학 용어 | 일상어 설명 | 특징 |
여드름(Acne vulgaris) | 일반적인 여드름 | 모낭과 피지선의 염증성 질환 |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 | 만성 가려움증을 동반한 습진 | 주로 유아기에 시작, 가려움증이 심함 |
건선(Psoriasis) | 은백색 비늘을 동반한 붉은 반점 | 각질 세포가 빠르게 증식하는 만성 질환 |
백반증(Vitiligo) | 피부가 하얗게 변하는 현상 | 멜라닌 세포가 파괴되는 자가면역질환 |
주사(Rosacea) | 얼굴 중심부 홍조와 여드름 같은 발진 | 주로 30-50대에 발생, 만성적 진행 |
지루성 피부염(Seborrheic dermatitis) | 기름진 비늘을 동반한 붉은 발진 | 주로 두피, 얼굴에 발생, 효모균 관련 |
접촉성 피부염(Contact dermatitis) | 외부 물질 접촉으로 인한 피부 염증 | 알레르기성과 자극성으로 구분 |
티네아(Tinea) | 무좀, 완선 등 피부 곰팡이 감염 | 부위에 따라 명칭 달라짐(예: Tinea pedis-발) |
💡 알아두면 좋은 팁
: 진단명 뒤에 붙는 'vulgaris'는 '흔한', 'simplex'는 '단순한'이라는 의미입니다. 'chronic'은 '만성적인', 'acute'는 '급성'을 뜻하죠.
피부 증상을 설명하는 용어들
피부과 의사들은 증상을 설명할 때도 특별한 용어를 사용합니다:
의학 용어 | 일상어 설명 | 설명 예시 |
홍반(Erythema) | 피부 발적, 붉어짐 | 햇빛 화상, 알레르기 반응 |
소양증(Pruritus) | 가려움증 | 아토피 피부염의 주요 증상 |
각질화(Keratinization) | 피부 각질층이 두꺼워짐 | 티눈, 굳은살 |
박리(Exfoliation) | 피부가 벗겨지는 현상 | 햇빛 화상 후 피부 벗겨짐 |
색소침착(Hyperpigmentation) | 피부가 평소보다 어두워짐 | 기미, 주근깨, 잡티 |
색소탈실(Hypopigmentation) | 피부가 평소보다 밝아짐 | 백반증 초기 증상 |
부종(Edema) | 피부 부기 | 알레르기 반응, 벌레 물림 등 |
태선화(Lichenification) | 피부가 두꺼워지고 주름이 깊어짐 | 만성 습진 부위 |
📊 피부 병변 묘사 용어와 시각화
피부에 나타나는 문제를 설명할 때 의사들은 매우 체계적인 용어를 사용합니다. 병변(병적 변화가 있는 부위)의 형태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
1차 병변(기본 병변)
용어 | 설명 | 일상적 예시 |
반점(Macule) | 피부색만 변한 평평한 병변 | 주근깨, 평평한 점 |
구진(Papule) | 1cm 미만의 돌출된 병변 | 작은 여드름, 물집이 아닌 발진 |
결절(Nodule) | 1cm 이상의 단단한 병변 | 큰 여드름, 지방종 |
판(Plaque) | 넓게 돌출된 평평한 병변 | 건선 병변, 습진 부위 |
물집(Vesicle) | 1cm 미만의 액체가 찬 병변 | 작은 물집, 초기 수포진 |
수포(Bulla) | 1cm 이상의 큰 물집 | 큰 물집, 화상 물집 |
농포(Pustule) | 고름이 찬 물집 | 화농성 여드름 |
낭종(Cyst) | 막으로 둘러싸인 액체/반고체 병변 | 지방낭종, 표피낭종 |
2차 병변(1차 병변이 변화한 형태)
용어 | 설명 | 일상적 예시 |
비늘(Scale) | 피부에서 떨어지는 각질 조각 | 건선, 지루성 피부염의 각질 |
딱지(Crust) | 말라붙은 삼출액, 혈액 | 상처 딱지 |
미란(Erosion) | 표피층만 손상된 상태 | 가벼운 긁힘, 얕은 물집 터진 후 |
궤양(Ulcer) | 표피와 진피층이 손상된 상태 | 욕창, 당뇨성 족부 궤양 |
균열(Fissure) | 피부의 갈라짐 | 입술 갈라짐, 발뒤꿈치 갈라짐 |
흉터(Scar) | 피부 손상 후 재생 조직 | 여드름 흉터, 수술 흉터 |
위축(Atrophy) | 피부층이 얇아지는 현상 | 스테로이드 장기 사용 부위 |
🔍 참고
: 이러한 병변들은 단독으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여러 형태가 함께 나타나는 경우도 많습니다. 예를 들어 여드름은 구진, 농포, 결절, 낭종 등 다양한 형태가 혼합되어 나타납니다.
🧴 화장품 성분표의 INCI 명명법 이해하기
화장품 성분표는 국제화장품성분명명법(INCI: International Nomenclature of Cosmetic Ingredients)을 따릅니다. 이 표준화된 명명법 덕분에 전 세계 어디서든 같은 성분을 동일하게 인식할 수 있죠.
INCI 명명 원칙
- 성분 순서: 함량이 많은 순서대로 나열됩니다. 보통 1% 미만 성분은 순서와 무관하게 마지막에 기재될 수 있습니다.
- 식물성 성분: 식물의 라틴어 학명을 사용합니다.
- 예: Camellia Sinensis Leaf Extract (녹차잎 추출물)
- 화학 성분: 화학명을 영어로 표기합니다.
- 예: Sodium Hyaluronate (히알루론산 나트륨)
- 색소: CI(Color Index) 번호로 표시합니다.
- 예: CI 77491 (산화철 - 붉은색 계열)
주요 화장품 성분군 이해하기
화장품 성분들은 기능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베이스 성분
- Water(Aqua) - 대부분 화장품의 기본 용매
- Glycerin - 보습제
- Butylene Glycol - 용매, 보습제
- Cetyl Alcohol - 유화제, 점도 조절제 (알코올이지만 건조하게 하지 않음)
2. 보습 성분
- Hyaluronic Acid - 수분 보유력이 뛰어난 보습 성분
- Ceramide - 피부 장벽 강화 성분
- Glycerin - 피부에 수분을 끌어당기는 성분
- Squalane - 피부 친화적인 오일
3. 활성 성분
- Niacinamide(나이아신아마이드) - 비타민 B3, 피부 장벽 강화, 색소 침착 개선
- Retinol - 비타민 A 유도체, 항노화 효과
- Ascorbic Acid - 비타민 C, 항산화, 미백 효과
- Salicylic Acid - BHA, 각질 제거, 모공 관리
4. 보존제
- Phenoxyethanol - 가장 흔한 보존제 중 하나
- Methylparaben - 파라벤류 보존제
- Sodium Benzoate - 식품에도 사용되는 보존제
- EDTA - 금속 이온을 안정화시켜 제품 안정성 향상
5. 계면활성제
- Sodium Lauryl Sulfate(SLS) - 강한 세정력의 계면활성제
- Cocamidopropyl Betaine - 마일드한 계면활성제
- Decyl Glucoside - 식물 유래 순한 계면활성제
화장품 라벨에서 주의해야 할 성분 표기법 ❗
알레르기나 민감성 피부를 가진 분들이 주의해야 할 성분들은 다양한 이름으로 표기될 수 있습니다:
1. 향료(Fragrance) 표기
- Fragrance/Parfum - 합성 향료 혼합물
- Essential Oil - 천연 에센셜 오일(알레르기 유발 가능)
- Aroma - 향료
- Linalool, Limonene, Citronellol - 향료 성분,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
2. 알코올 표기
- Alcohol, Alcohol Denat., SD Alcohol - 건조시킬 수 있는 알코올
- Cetyl Alcohol, Stearyl Alcohol - 지방 알코올(보습 기능)
3. 실리콘 표기
- -methicone 으로 끝나는 성분 (예: Dimethicone)
- -siloxane 으로 끝나는 성분 (예: Cyclopentasiloxane)
📢 화장품 효능 관련 과학적 용어와 마케팅 용어 구분
화장품 업계에서는 과학적 근거가 있는 용어와 마케팅 목적의 용어가 혼재되어 사용됩니다. 이를 구분하는 법을 알아봅시다.
과학적 근거가 있는 용어
용어 의미 | 관련 성분 | 예시 |
항산화(Antioxidant) | 활성산소로부터 피부 보호 | 비타민 C, E, 녹차 추출물 |
각질 용해(Keratolytic) | 각질 제거 촉진 | AHA, BHA, PHA |
세포 재생(Cell regeneration) | 피부 세포 턴오버 촉진 | 레티놀, 펩타이드 |
광보호(Photoprotection) | 자외선으로부터 보호 | 산화아연, 이산화티타늄 |
보습(Hydration) | 수분 공급 및 유지 | 히알루론산, 글리세린 |
마케팅 용어(과학적 정의가 모호한 용어)
마케팅 용어 | 실제 의미 | 주의할 점 |
무첨가(Free from) | 특정 성분이 없음 | 대체 성분이 더 자극적일 수 있음 |
천연(Natural) | 자연 유래 성분 포함 | 천연도 알레르기 유발 가능 |
저자극(Hypoallergenic) | 알레르기 반응 최소화 목표 | 모든 사람에게 무자극은 아님 |
더마(Derma) | 피부과학과 연관 암시 | 의학적 효능을 보장하지 않음 |
안티에이징(Anti-aging) | 노화 징후 개선 효과 | 정확한 효과 범위가 모호함 |
화이트닝(Whitening) | 멜라닌 생성 억제, 피부 톤 개선 | 실제 피부를 하얗게 만드는 것이 아님 |
💡 구매 팁: 화장품 선택 시 '무첨가'보다는 실제로 어떤 성분이 들어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피부 타입 분류 용어의 실제 의미
화장품과 스킨케어 제품에서 흔히 사용되는 피부 타입 분류 용어들의 실제 의미를 알아봅시다.
전통적인 피부 타입 분류
피부 타입 | 특징 | 관리 포인트 |
지성(Oily) | 과도한 피지 분비, 번들거림 | 수분 공급 + 피지 조절 |
건성(Dry) | 피지 부족, 당김, 각질 | 보습 + 유분 공급 |
복합성(Combination) | T존 지성, 볼 부위 건성 | 부위별 다른 관리 필요 |
중성(Normal) | 균형 잡힌 유·수분, 트러블 적음 | 균형 유지가 관건 |
민감성(Sensitive) | 외부 자극에 쉽게 반응 | 자극 최소화, 장벽 강화 |
더 세분화된 피부 상태 분류
용어 의미 | 관련 피부 | 문제 |
탈수 피부(Dehydrated) | 수분이 부족한 상태(지성도 가능) | 당김, 주름, 칙칙함 |
예민 피부(Reactive) | 외부 자극에 즉각 반응 | 홍조, 따끔거림, 발진 |
내성 피부(Resistant) | 외부 자극에 강한 피부 | 제품 효과 체감 어려움 |
색소침착(Hyperpigmented) | 멜라닌 과다 생성 | 기미, 잡티, 주근깨 |
무증상 문제성(Asymptomatic) | 눈에 보이는 문제 없으나 장벽 약화 | 쉽게 트러블 발생 |
노화 피부(Mature) | 탄력 저하, 주름 | 건조, 탄력 저하, 색소침착 |
🔍 참고
: 피부는 고정된 타입이 아니라 계절, 호르몬, 스트레스, 환경에 따라 변화합니다. 현재 피부 상태에 맞는 관리가 중요합니다.
⚠️ 알레르기 유발 성분의 다양한 표기법
민감성 피부나 알레르기가 있는 분들이 특히 주의해야 할 성분들과 그 다양한 표기법을 정리했습니다.
주요 알레르기 유발 성분 그룹
1. 파라벤류(Parabens)
- 표기 예: Methylparaben, Propylparaben, Butylparaben, Ethylparaben
- 특징: 보존제로 사용, 에스트로겐 유사 활성 논란
2. 향료(Fragrance)
- 표기 예: Fragrance, Parfum, Aroma, Essential oil names
- 특징: 향료 알레르기는 가장 흔한 화장품 알레르기 원인 중 하나
3. 방부 보존제
- 표기 예: Methylisothiazolinone (MIT), Methylchloroisothiazolinone (CMIT)
- 특징: 강력한 방부 효과, 민감성 피부 자극 가능성
4.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
- 표기 예: Oxybenzone, Avobenzone, Octinoxate, Homosalate
- 특징: 화학 반응으로 자외선 차단, 민감성 피부 자극 가능
5. 알코올류
- 표기 예: Alcohol Denat., SD Alcohol, Ethanol, Isopropyl Alcohol
- 특징: 피부 건조 및 자극 유발 가능
알레르기 확인 방법 📣
- 패치 테스트: 새 제품 사용 전 팔 안쪽에 소량 발라 24-48시간 반응 확인
- 성분 일기 쓰기: 알레르기 반응 발생 시 사용 제품의 성분 기록
- 제거 테스트: 의심 제품 일시 중단 후 피부 상태 변화 관찰
- 피부과 알레르기 테스트: 정확한 알레르기 원인 파악에 도움
마치며: 지식으로 무장한 스마트 소비자 되기
복잡한 피부과 용어와 화장품 성분표를 이해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기본적인 용어만 알아도 피부과 진료나 화장품 선택에 큰 도움이 됩니다.
오늘 배운 내용을 활용해 다음번 진료나 쇼핑 시에는 더욱 스마트한 판단을 해보세요. 전문가에게는 정확한 질문을, 화장품에는 꼼꼼한 성분 체크를 할 수 있을 거예요! 💪
피부는 평생 함께할 가장 큰 장기입니다. 그만큼 정확한 지식으로 현명하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죠. 여러분의 피부 건강을 응원합니다! ✨
여러분은 피부과 용어나 화장품 성분 중 특히 이해하기 어려웠던 것이 있나요? 또는 알고 보니 오해하고 있었던 용어가 있었나요? 댓글로 공유해주세요! 서로의 경험이 모여 더 나은 피부 건강을 찾을 수 있을 거예요.
'키미의 건강 지식 허브 > 의학 용어 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혈전 용해제 vs 항응고제: 뇌졸중과 심장마비 치료의 결정적 차이점 (1) | 2025.04.30 |
---|---|
정신과 진단서에 적힌 용어, 무슨 뜻일까? DSM-5-TR 정신건강 용어 완벽 해설 (0) | 2025.04.25 |
처방전 해독 가이드: 약어와 지시사항 완벽 이해하기 (1) | 2025.04.24 |
수술 동의서 해석법: 서명 전 알아야 할 의학 용어와 위험 확 (0) | 2025.04.24 |
의사처럼 판독서 읽기: MRI/CT 영상의학 용어와 약어 해석 가이드 (1) | 2025.04.24 |